사랑채
자연의 엔지니어, 비버(beaver)
Author
신종계
Date
2009-07-29
Views
55
비버를 알게 된 것은 1984년 9월 보스톤의 MIT에 도착해서였습니다. 학교 안내를 받는 중에 MIT의 상징 동물이 비버라는 것을 안 것입니다. 자연의 건축사, 자연의 엔지니어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는데, 저는 본 적이 없었기에 그냥 그런가 보다 했습니다.
2000년 여름, 미시간대학에 교환교수로 가 있는 중에 보스톤에 학회가 있어 가족들과 함께 미국 동부 여행을 갔습니다. 마침 집사람의 지도교수였던 보니 라모스선생님이 저희 가족을 초대하여 주어 그녀의 뉴햄프셔 집에 갔었습니다.
뉴햄프셔의 맑은 공기와 햇살 속에 아침 잠을 깬 우리들은 가까운 집 근처의 산으로 산책을 나갔습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비버를 만났습니다. 외모와 크기는 조금 큰 다람쥐같은 인상이었습니다.
산 속의 계곡마다 비버가 만든 댐이 있었습니다. 작은 댐은 나뭇가지로만 만들었으며, 물은 아주 조금씩 가지 사이로 흘러 나왔습니다. 평균 댐의 폭은 약 1미터, 높이는 30-40센티의 크기였습니다. 제게 나뭇가지를 주고 같은 댐을 만들라고 하면 불가능한 그런 댐이었습니다. 나뭇가지의 길이, 굵기를 어쩜 그렇게 정교하게 선택하고, 또 그 가지들을 엮어서 물이 고이도록 댐을 만들다니..., 경탄 그 자체였습니다.
계곡이 조금 넓은 곳은 큰 나무들로 댐을 만들었습니다. 계곡의 경사진 면에 있는 큰 나무들의 밑둥을 적절히 갉아 나무들이 댐을 만들 곳으로 넘어지도록 하였습니다. 경사진 곳의 나무들이 모두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그러나 그 모든 것이 하나의 댐이 될 수 있도록 정교하게 넘어져 비버들이 쉽게 최단거리로 나무를 옮겨 댐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여리고 힘없는 동물임에도 산속에 정교한 댐을 만들어 생활을 하는 비버에게서 진정한 엔지니어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가끔 해결책이 안보이는 문제를 만나면 비버가 생각납니다. 그들의 영특함에 미소가 지어지며, 자연스레 저도 힘이 나곤 합니다.
2000년 여름, 미시간대학에 교환교수로 가 있는 중에 보스톤에 학회가 있어 가족들과 함께 미국 동부 여행을 갔습니다. 마침 집사람의 지도교수였던 보니 라모스선생님이 저희 가족을 초대하여 주어 그녀의 뉴햄프셔 집에 갔었습니다.
뉴햄프셔의 맑은 공기와 햇살 속에 아침 잠을 깬 우리들은 가까운 집 근처의 산으로 산책을 나갔습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비버를 만났습니다. 외모와 크기는 조금 큰 다람쥐같은 인상이었습니다.
산 속의 계곡마다 비버가 만든 댐이 있었습니다. 작은 댐은 나뭇가지로만 만들었으며, 물은 아주 조금씩 가지 사이로 흘러 나왔습니다. 평균 댐의 폭은 약 1미터, 높이는 30-40센티의 크기였습니다. 제게 나뭇가지를 주고 같은 댐을 만들라고 하면 불가능한 그런 댐이었습니다. 나뭇가지의 길이, 굵기를 어쩜 그렇게 정교하게 선택하고, 또 그 가지들을 엮어서 물이 고이도록 댐을 만들다니..., 경탄 그 자체였습니다.
계곡이 조금 넓은 곳은 큰 나무들로 댐을 만들었습니다. 계곡의 경사진 면에 있는 큰 나무들의 밑둥을 적절히 갉아 나무들이 댐을 만들 곳으로 넘어지도록 하였습니다. 경사진 곳의 나무들이 모두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그러나 그 모든 것이 하나의 댐이 될 수 있도록 정교하게 넘어져 비버들이 쉽게 최단거리로 나무를 옮겨 댐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여리고 힘없는 동물임에도 산속에 정교한 댐을 만들어 생활을 하는 비버에게서 진정한 엔지니어의 모습을 보았습니다. 가끔 해결책이 안보이는 문제를 만나면 비버가 생각납니다. 그들의 영특함에 미소가 지어지며, 자연스레 저도 힘이 나곤 합니다.
- Next 데날리(Denali)봉 앞에서
- Prev PLM이 태어나던 해